김경철 강남메이저병원장, K-방역 문제점 되짚고 오미크론 대응방향 제언
"개인면역 강화 위해 비타민 D 복용 고려해야..일차의료기관엔 충분한 보상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 시대에 접어들면서 집단 방역은 완화하되, 개인면역 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이뤄져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오미크론을 독감처럼 대하고 진단·치료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경철 강남메이저병원 병원장은 7일 대한의사협회 임시회관에서 진행된 의료윤리연구회 월례모임에 참석해, K-방역의 문제점을 되짚어 보고 오미크론 유행에 대응 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김경철 원장은 “중증화를 막고 바이러스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중화항체’ 생성률을 근거로 K-방역정책을 들여다보면, 아스트라제네카백신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편인데, 초기 수입백신의 대부분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아쉽다”면서 “특히 60~75세 고위험군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고, 6개월 후 부스터샷을 맞기 전에 위드코로나가 시작되면서 위중증 사망률이 높아진 점은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화이자를 맞은 75세 이상도 4개월 후 중화항체 생성이 크게 떨어졌는데, 11월 위드코로나 시기에 접어들면서 이들 연령도 위중증, 사망률이 높아졌다. 또한 30대 예비역 중심으로 약 100만명이 얀센백신을 맞았는데, 중화항체 생성률을 보면 백신 효율이 상당히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K-방역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성과를 칭찬하는 동시에 윤리적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의료인, 과학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볼 때, 사람들은 질병청이 발빠르게 움직여서, 바이러스 PCR방식을 개발, 세팅한 것을 칭찬했다. 또 마스크 착용, 락다운없이 일상 생활한 것도 그렇다”고 밝혔다.

그러나 ▲다양한 전문가 의견이 공론화되지 못한 점 ▲코로나 방역이 정치화된 점 ▲백신 부작용 연구 및 보상이 부족한 점 ▲백신 선택권이 없이 효율 낮은 백신투여 ▲확진자에 대한 지나친 사생활 노출 ▲사망한 가족에 대한 임종, 발인을 금지한 것 ▲일관되지 못하고 지나치게 세세한 방역수칙 등을 K-방역의 비과학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김 원장은 “특히 백신패스에 있어서 접종 편익 분석이 부족하게 진행되는 등, 비과학적인 부분이 나타났다. 중화항체값에 대한 분석이 더 중요한데 없었다”면서 “또, 방역의 정치화가 된 점도 아쉽다. 초창기 K-방역으로 동선경로 등 사생활이 노출된 점과, 특정집단이 혐오의 대상이 된 점도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원장은 오미크론 변이가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오미크론이 처음 나온 남아공 데이터를 참고할 경우, 백신 접종자와 비접종자 모두 감염자가 될 수 있으나, 치명률이 뚝떨어지는 점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된 시대에 코로나 방역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져야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오미크론 시대에 방역은 완화하되, 개인면역 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 원장은 “이미 주요국가에서 방역조치를 해제하고 있고, 덴마크와 노르웨이는 마스크를 벗어도 된다면서 방역조치를 완전 해제하고 있다”면서 “사망률이 떨어지기에, 여전히 백신은 가장 강력한 방어막이기에 접종이 중요하지만, 개인 면역력을 올리는 형태로 가는 것이 필요하다. 비타민 D가 코로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고위험군에서 비타민 D 고용량 복용을 해야 한다는 논문이 나오고 있어 참고할 만하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또한 “독감처럼 오미크론을 다루는 것인데 독감을 가장 잘 다뤄온 일차의료기관이 치료, 진단에 나서는 것이 고무적이다. 이 때 의사들이 감염될 때 격리 면제해야한다”고 강조하면서 “오미크론 진단을 독감진단하듯이 하고, 정부 지원하에 충분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 기존과 다른 체계 속에서 일차의료기관의 희생 아닌 헌신이 이뤄지도록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이 밖에 코로나19 대응을 통해 얻은 교훈을 코로나 또는 코로나 이후 감염병 펜더믹이 찾아올 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변종바이러스에 대한 진단법을 개발하고 초기 신속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위험군 관리 중심의 예방 (백신) 및 치료 정책을 펴야한다는 조언이다. 또한 무증상, 경증, 위중증 등 증상에 따른 재택, 시설, 병원 등의 단계적 관리 및 치료가 이뤄져야 하며, 백신패스 대신 백신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김 원장은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